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5

PE관의 접합방법 버트융착 전기융착 소켓융착 PE관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관, 통신관로 등 다양한 인프라 시설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부식에 강하고, 내고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PE관의 서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접합부의 품질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접합부는 누수, 파손, 압력손실, 침투수 발생 등 각종 문제의 취약 지점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PE관(폴리에틸렌관)의 접합 방법은 일반 PVC관이나 강관과 달리 맞대기 융착, 전기융착소켓, 소켓융착 등 열융착 접합방식과 조임식 이음관, 홀더와 캡 연결, 플랜지 등을 이용한 기계식 접합방식이 있습니다. 각 접합방식의 특징과 접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열융착식 접합방식열융착식 접합은 관과 관 또는 관과 이음관을 가열하여 분자 단위로 융착시키는 방법입니다. 마치 같은.. 2025. 9. 22.
PE관의 정의와 특징 상수도 및 하수도 관로에 많이 사용되는 PE(polyethylene) 관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E관에 대한 정의와 특징 접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E관의 정의PE 관(Polyethylene Pipe, 폴리에틸렌관) 은 석유제품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원료로 제조한 플라스틱관을 말합니다. 주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며, 내구성·내식성·유연성이 뛰어나 상수도, 가스관, 하수관, 통신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세부 용도로는 상수도, 공업용수, 농업용수, 해수용, 준설용, 플랜트용, 화학물이송용, 해양구조물, 원예용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단층 및 다층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PE관의 특징PE관의 여러가지 특징중 화학.. 2025. 9. 14.
2025년 시설공사 원가계산서 건축 토목 간접공사비 제비율 8월9일 최근 조달청에서 2025년 시설공사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제비율 적용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2025년 8월 9일부터 적용되며 변경내용, 관련자료, 참고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제비율 변경내용(최신 8월 9일)2025년 시설공사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제비율의 변경내용은 일반관리비 요율입니다.토목, 조경, 사업·설비(토목)추정공사비 5억 미만, 5억~30억 미만, 30억~50억 미만 : 6.0 → 0.8추정공사비 50억~100억 미만, 100억~300억 미만 : 5.5 → 6.5전문·전기·통신·소방·기타추정공사비 5억 미만 : 6.0 → 0.8추정공사비 5억~30억 미만 : 5.5 → 6.52025년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제비율 관련자료(최신 8월 9일)2025년 8월 9일 토.. 2025. 8. 21.
하수관로공사 시공검사 준공검사 종류, 시험방법, 검사대상 하수관로, 맨홀, 연결관 등의 시공중 또는 시공 후 시공의 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의 종류, 시험방법, 검사시기, 검사수량 및 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수관로의 시공검사 및 준공검사 종류경사검사 : 경사 및 측선변동을 조사하여 종·횡방향 시공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합니다.수밀검사 : 오수관로, 합류관로, 차집관로에 대해서 시행하며, 외부에서 관로 내로 침입하는 침입수량을 측정하는 침입수시험(양수시험)의 침입시험과 관로 내에서 외부로 침출되는 침출량을 측정하는 누수시험, 공기압시험, 부분수밀시험, 압송관의 수압시험 등 침출시험으로 나누어집니다. 하수관로 시공검사 준공검사 기준 바로가기 하수관로의 시공검사 및 준공검사 시험방법하수관로의 시공검사 .. 2025.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