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 목적과 기준 활용

by 별하누리 2025. 3. 28.
반응형

2025년 상반기 시중노임단가

한국건설협회의 건설업 임금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매년 상반기(3월)와 하반기(9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는 조사입니다. 이 조사는 건설업계의 인건비 관련 정책 수립과 적정 공사비 산정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아래에 목적과 기준, 활용, 개별직종 노임단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보고서.hwp
0.31MB

건설업 임금 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의 목적과 기준

건설업 임금 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의 목적은 현장 근로자의 직종별 실수령 임금을 조사해 실제 임금 수준을 객관적으로 반영합니다. 이를 토대로 공공기관 및 발주처에서 공사비를 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며, 근로자의 권익 보호, 임금 체계 개선 등 제도 개선의 기반이 됩니다.

조사의 시점은 매년 3월(상반기), 9월(하반기) 기준으로 2025년 건설업 임금 실태 조사의 경우 조사 기준기간은 2024년 9월 1일 ~9월 30일이며 조사 실시기간은 2024년 10월 1일 ~10월 31일입니다. 조사범위는 공사, 전기, 정보통신, 국가유사, 원자력직종 등 전국의 2,000개 건설 현장에서 자계식 우편조사, 인터넷 조사, 타계식 현장실사를 병해실시 하였습니다.

건설업 임금 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의 활용

국토교통부, 조달청, 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시장단가, 실적공사비, 표준품셈 등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과소한 공사비 책정을 방지하고, 적적한 시공 품질과 근로자 임금 보장이 가능해집니다. 

조사된 실수령 임금을 바탕으로 견적서를 산정하고 도급단가 산정시 직종별 임금 수준 파악이 중요하므로 시무적으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고용노동부 등 정부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 노동시장분석, 인력 수급 전망, 고용 안정 대책 등의 연구에 활용합니다.

건설업 임금 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의 2025년 노임단가

통계청의 승인을 얻어 2025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시중노임단가) 결과가 공표되었습니다.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 및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조정시에 적용하여 사용하며, 적용기간은 2025년 1월 1일 ~ 2025년 8월 31일까지입니다. 

2025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보고서.pdf
1.38MB

반응형